입력 : 2010-03-03 11:53:03
클라우드 환경에서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것은 직접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고 관리하는 것이 아닌 인터넷 상에서 접근 가능한 방대한 저장 공간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많은 것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제공 및 활용 방식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다양하게 분화된다. 예를 들어 온 프레미스 (On-Premise) 애플리케이션일지라도 클라우드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서비스에 의존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클라우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든, 클라우드에서 제공한 서비스를 이용하든지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애저 플랫폼(Windows Azure Platform)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위한 클라우드 기술의 집합이다. 윈도우 애저 플랫폼은 클라우드에서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나, 프레미스 애플리케이션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S+S(Software+Service) 전략이 반영된 대표적 사례다.
윈도우 애저 플랫폼은 윈도우 애저(Windows Azure), SQL 애저(SQL Azure), 윈도우 애저 플랫폼 AppFabric(Windows Azure Platform AppFabric)으로 나뉠 수 있다. 윈도우 애저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기 위한 플랫폼이다. 개발자들은 윈도우 애저 상에서 닷넷 프레임워크(.Net Framework) 등을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비주얼 스튜디오를 포함한 개발 툴을 사용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윈도우 언어인 C#, 비주얼 베이직(Visual Basic), 자바(Java)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윈도우 애저는 SOAP, REST, XML, PHP 등의 표준과 프로토콜을 지원해 스토리지 서비스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윈도우 애저는 기존의 저장 공간이 필요한 사용자들을 위해 SQL 애저 데이터베이스(SQL Azure Database)를 제공한다. 윈도우 애저 플랫폼에서 이와 같은 저장 옵션은 얼마든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인프라스트럭처를 지원하는 윈도우 애저 플랫폼>
이처럼 클라우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점을 지니고 있다. 시스템 구매 및 설치, 관리를 위한 복잡한 절차를 클라우드 제공자에게 대신 맡기면 된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한 저장공간이나 컴퓨팅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 필요한 데이터 저장 공간이 늘어나도 클라우드는 유연하게 확장하면서 이에 대응한다. 이러한 윈도우 애저는 다양하게 니즈를 충족시키며 여러 가지 시나리오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세대 페이스북(Facebook)을 만들려고 하는 소규모 웹 사이트 개발 회사는 인프라스트럭처에 드는 비용 걱정 없이 코드개발에만 주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적기 때문에 사용 비용도 그만큼 감소하게 되고, 사용자가 늘어날 경우 그만큼의 비용만 추가적으로 더 지불하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온 프레미스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을 SaaS(Software as a Service) 버전으로 개발하려는 ISV(Independent Software Vendor)도 윈도우 애저를 활용할 수 있다. 윈도우 애저는 가장 표준적인 윈도우 환경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기업도 닷넷과 같이 쉽고 적합한 기술을 지원하는 윈도우 애저를 적은 비용에 활용할 수 있다.
윈도우 애저 플랫폼의 구성 요소인 SQL 애저는 인터넷 상 접근이 가능한 서버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동기화, 리포팅, 데이터 분석 등 데이터 중심의 범위를 포함하는 SQL 애저는 SQL 애저 데이터베이스(SQL Azure Database)가 SQL 애저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라 할 수 있다. SQL 애저 데이터베이스는 SQL 서버 기반의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DBMS)로, 온 프레미스 또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이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 센터의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 디스크나 DBMS에 투자됐던 자본 비용을 관리비용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실용적이다. SQL 애저 역시 윈도우 애저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소규모 기업이나 거대 조직의 부서에서 SQL 애저 데이터 베이스를 쓰기에 적합하다. 이들은 데스크톱 상의 SQL 서버나 액세스 데이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보다 클라우드의 이점인 신뢰성과 가용성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이다. 또한 중개 네트워크나 직접 최종 사용자에게 제품을 제공하는 생산자 역시 누구에게나 접근이 가능한 SQL 애저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중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SQL 애저>
또 하나의 윈도우 애저 구성요소는 클라우드 기반의 인프라스트럭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윈도우 애저 AppFabric(Windows Azure AppFabric)이다. 윈도우 애저 AppFabric은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운영을 단순화하는 액세스 컨트롤(Access Control)과 서비스 버스(Service Bus)로 구성돼 있다. 액세스 컨트롤은 서로 다른 인증 체계를 가진 기업 간 혹은 시스템 간에 Identity Federation을 제공하며 각기 다른 인증 체계의 연동을 한결 쉽게 한다. 기업 내의 서비스 버스인 ESB(Enterprise Service Bus)가 기업 간 서비스로 확산된 개념의 서비스 버스는 아웃바운드(Outbound) 포트를 통한 서비스 릴레이 기능을 통해 보안 상 리스크를 줄이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온-프레미스, 클라우드에서 인프라 스트럭처를 지원하는 윈도우 애저 플랫폼 AppFabric>
<윈도우 애저 플랫폼 AppFabric의 액세스 컨트롤>
마이크로소프트는 앞으로도 윈도우 애저 플랫폼에 다양한 기능을 업데이트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기존의 애플리케이션도 더욱 폭넓게 지원할 예정이며, 온 프레미스 버전인 윈도우 서버 AppFabric(Windows Server AppFabric)의 기능도 윈도우 애저 플랫폼 AppFabric에서 구현할 예정이다. 이러한 모든 계획은 앞으로 윈도우 애저 플랫폼이 더욱 다양한 시나리오로 확대, 발전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아울러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전략의 궁극적 지향점을 윈도우 애저 플랫폼을 통해 제시할 것이다.
베타뉴스 이직 기자 (leejik@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
- 목록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