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내년 실손보험료 평균 인상률 ‘1.5%’...3세대는 18% 오른다


  • 박은선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23-12-18 23:06:37

    손해율 급등에도 작년보다 인상률 낮춰

    보험사들이 손해율이 큰 3세대 실손 보험료를 올리는 대신 1세대를 인하해 전체 실손보험료 인상률을 최소화한다. 평균 1.5% 올리기로 했다. 최근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압박이 작용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보험권 일각에선 내년 실손 부문에 대한 추가 적자를 우려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 보험사들이 상생금융 방안의 일환으로 실손보험료 인상률을 최소화하는 안을 내놨다. 손해율이 큰 3세대 실손 보험료는 올리는 대신 1세대를 인하해 평균 1.5% 올리기로 했다. ©연합뉴스

    손해보험협회와 생명보험협회는 18일 설명자료를 내고 내년도 실손의료보험의 전체 인상률 평균(보험료 기준 가중평균)이 약 1.5% 수준으로 산출됐다고 밝혔다.

    지난 실손보험 인상률 기준으로 보면 2022년(약 14.2%), 2023년(약 8.9%) 대비 낮아진 수치다.

    1세대 실손(2009년 9월까지 판매) 보험료는 내년 평균 약 4% 인하하고 2세대 실손(2009년 10월~2017년 3월 판매)은 평균 1%대로 보험료를 올리기로 했다. 반면 올 들어 손해율이 급등한 3세대(2017년 4월~2021년 6월 판매) 실손보험료는 내년부터 평균 18% 수준으로 인상한다. 4세대(2021년 7월 이후 판매)는 동결했다.

    실손보험 손해율은 일부 비급여 항목의 과잉 진료 문제로 지속해서 상승하는 추세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올해 상반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21.2%로 작년(118.9%)보다 상승했다. 이 중 3세대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작년 131.4%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 156.6%로 뛰었다. 손해율이 100%보다 높다는 것은 보험사들이 실손보험에서 적자를 내고 있다는 의미다.

    이처럼 실손보험 손해율 상승률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보헙업계는 도수치료, 영양제 주사 등 일부 문제 비급여 항목에 대해 실행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찾아 당국에 건의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보험료 인하여부·인하폭 및 시행시기 등 세부사항은 개별 보험사 사정에 따라 결정한다. 이르면 이번주부터 인하폭이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베타뉴스 박은선 기자 (silver@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1455077?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