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사회 첫발부터 ‘빚 굴레’...20대 주담대 연체율, 8분기 연속 가장 높아


  • 박은선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23-12-11 10:40:15

    20대 이하 청년층 주담대 연체율 2년째 전 연령대 중 1위…30대 대비 연체율 2배 육박

    청년들이 은행 빚에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사회생활을 갓 시작한 20대 이하 청년층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2년째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대와 비교하면 2배에 육박한다.

    내 집 마련을 위해 '영끌'에 나섰던 젊은 층이 고금리로 인해 대출 원리금을 갚지 못하는 위기에 처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 20대 이하 차주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다른 연령대를 압도하는 기현상이 2년째 계속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11일 금융감독원을 통해 19개 은행(시중·지방·인터넷 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만 20대 이하 연령층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9%로 집계됐다. 이는 30대의 거의 2배 되는 수치다.

    이는 작년 동기(0.24%)보다 0.15%포인트(p) 급등한 것이다. 주목할 점은 20대의 연체율이 다른 연령대보다 월등히 높다는 점이다. 특히 30대와 비교하면 20대 이하 주담대 연체율이 약 2배 높다. 올 9월말 기준 30대 주담대 연체율은 0.20%를 기록했다. 40대와 50대, 60대 이상은 각각 0.23%, 0.25%, 0.23% 등이었다.

    20대 이하 주담대 연체율이 가장 높은 현상은 8분기째 이어지고 있다. 통상 연령대별 연체율은 50대나 60대 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20대 이하의 연체율은 올해 2분기 말에 0.44%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뒤 3분기 말 전분기보다 0.05%p 하락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대 이하의 연체액 역시 2분기 말 1500억원으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3분기 말 1400억원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900억원)보다는 50% 이상 많았다.

    한편 20대 외 다른 연령대의 건전성도 심상찮은 모습이다. 20대 이하 외 다른 연령대의 주담대 연체액과 연체율도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30대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말 0.09%에서 올 3분기 말 0.20%로 확대됐다. 연체액도 1,500억원에서 3,400억원으로 늘었다.

    40대 연체율은 0.12%에서 0.23%로 오르고, 연체액은 2200억원에서 4700억원으로 늘었다. 50대 연체율(0.13→0.25%)과 연체액(1800억→3700억원)도 마찬가지였다.

    60대 이상의 주담대 연체율 역시 0.13%에서 0.23%로 올랐다.

    이처럼 주택담보대출 연체가 급증한 이유는 금리 상승과 고금리 장기화로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소득감소와 고물가로 인한 가계 재정 악화 도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급증은 가계 부실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베타뉴스 박은선 기자 (silver@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1454377?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