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2003 국감] 저축은행 개인신용대출, 5년만에 3배 ↑...“중·저신용자 대출, 2금융권 내몰려”


  • 유주영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23-10-23 13:55:08

    ▲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1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초당적 정치개혁 의원모임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민병덕 의원 페이스북

    올해 상반기 저축은행 전체 대출 잔액이 11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7년 대비 58조원이 증가한 수치다.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국회의원(안양시동안구갑·정무위원회)이 23일 예금보험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저축은행 대출잔액은 109조 4000억원으로, 이중 기업 대출 잔액은 65조 1000억원, 개인신용 대출잔액은 28조 4000억원이다.

    저축은행 전체 대출잔액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13.8조원(51.2조원→65조원)으로 평균 6조9000억원이 상승했다. 특히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7조4000억원(77.6조원→115조원)이 했다. 이는 2017년 대비 63조8000억원 차이다.

    2023년 상반기 기업 대출 잔액은 65.1조원으로 지난 2017년 29조원이었던 것에 비해 2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신용 대출잔액의 경우에도 지난 2017년 9조5000억원이었던 것에 비해 올해 상반기 28조4000억원 수준으로 3배가 증가해 서민금융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민 의원은 코로나19와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가 맞물리며, 금융기관 대출로 버텨온 자영업자와 중·저신용자들이 더 이상 원리금을 감당하지 못해 대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 ©민병덕 의원실

    예금보험공사가 제출한 ‘저축은행별 개인신용대출 연도별 잔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SBI저축은행이(6조3,760억원) 가장 많았고, OK저축은행(4조7,029억원), 페퍼저축은행(2조1,222억원), 웰컴저축은행(1조6,083억원), 한국투자저축은행(1조3,723억원) 순이다. 

    이로써 2023년 상반기 기준 5대 저축은행 개인신용대출 잔액은 16조 1,817억원으로 총대출잔액(28조4,000억원) 중 57%를 차지했다.

    올해 상반기 5개 저축은행의 개인신용대출 잔액 16조 1,817억원은 최근 7년 중 대출잔액이 가장 높았던 2022년 16조 7,519억원에 육박한 수치다. 일각에서는 코로나 이후 제1금융권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제1금융권 대비 대출 이자는 높지만, 비교적 대출 절차가 간편한 제2금융권으로 내몰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민병덕 의원은 “정부가 지난 5월, 3년 4개월 만에 코로나 엔데믹을 선언했지만, 사회적·경제적 측면에서도 엔데믹이 맞는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며 “금융위원회가 중·저신용자의 대출 금리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타뉴스 유주영 기자 (boa@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1447804?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