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프라이즈

HPE 아루바, 매년 두자릿수 큰 성장...아루바 센트럴로 통합관리 목표


  • 신근호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22-10-12 17:22:31

    ▲ 한국 HPE 아루바 강인철 부사장©HPE 아루바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HPE 아루바)는 ‘2022 아루바 솔루션 데이 서울 세미나’를 개최하며 에지 투 클라우드 전략 및 네트워크 현대화를 위한 기술을 발표했다.

    HPE와 아루바는 에지 투 클라우드를 기업의 비전과 전략으로 수립했다. 아루바는 에지 투 클라우드 전략을 위한 세부과제 및 목표로서 네트워크 현대화를 설정, 이를 이루기 위한 솔루션을 제시했다. 또한 아루바는 내년 안에 아루바 센트럴 플랫폼을 통해서 모든 아루바 제품을 통합 관리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주요 경영진과 업계 전문가들은 민첩성, 자동화 및 보안이라는 세 가지 핵심 기술 원칙을 중심으로 아루바의 혁신에 대해 조명했다. 정적 네트워크(Static networks)는 더 이상 증가하는 비즈니스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거나 변화하는 보안에 대한 요구사항을 지원하지 않는다.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 이니셔티브에 착수하고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에 적응함에 따라, 현대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채택하는 것을 권장한다. 모든 기업이 어디에서나 핵심 비즈니스 기능을 원활하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한다.

    한국 HPE 아루바를 총괄하고 있는 강인철 부사장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 새로운 IoT 환경 및 원격업무로 새롭게 정의되는 표준과 함께 오늘날의 단절된 환경에서 연결을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언제 어디서나 연결할 수 있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네트워크 현대화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디지털 전환과 가속화를 우선시하는 기업은 네트워크 조정, 관리 및 보안과 관련된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여 궁극적으로 비즈니스 성장을 견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아루바 에지커넥트 엔터프라이즈 SD-WAN 플랫폼도 SD-WAN 시장에서 최초로 ICSA랩(ICSA Labs) 보안 SD-WAN 인증을 받았다. 이 인증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업계 최고 수준의 아루바 SD-WAN과 보안 기능을 알리고 주요 네트워크와 보안 혁신을 달성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했다.

    아루바의 포괄적인 솔루션 포트폴리오는 상시 접속 및 보안이라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네트워크 에지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킹을 가정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에지커넥트 마이크로브랜치(EdgeConnect Microbranch)를 통해 IT 부서는 원격 근무자에게 전 범위 내 캠퍼스에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고, 문제 해결을 가속화하며, 캠퍼스에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와 SASE(Secure Access Services Edge) 보안 프레임워크를 확장하여 기업 내부를 보호하고 위치에 관계없이 각 직원의 경험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확장하여, 아루바는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표준화하기 위해 최초의 자체 위치 무선 인프라와 오픈 로케이트 이니셔티브를 출시했다. 아루바의 자체 위치추적 AP를 통해 기업 및 서비스 공급업체는 전체 무선 LAN 풋프린트에 걸쳐 위치 인식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규모에 맞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많이 들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수동 조사가 필요하지 않다.

    강인철 부사장은 “우리는 SD-WAN 및 SASE 아키텍처를 캠퍼스와 브랜치 등에 있는 모든 사용자에게 확장하고, 혁신적이고 안전한 SD-WAN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하게 되어 매우 자랑스럽다” 라며 “아루바가 5년 연속 SD-WAN 부문 리더 기업에 선정됨에 따라 하이브리드 인력을 강화하고, 원활하고 안전한 에지-투-클라우드 연결을 지원하며, IT 운영을 최적화하고자 하는 모든 기업에 아루바가 WAN, 보안 및 브랜치 혁신을 지원할 수 있는 기업임을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이라고 덧붙였다.


    베타뉴스 신근호 기자 (danielbt@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1366005?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