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대우조선 매각 방침에 거제시민들 "혼란·불안감 확산"


  • 온라인뉴스팀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19-02-27 17:30:02

    ▲ 26일 대우조선해양 조합원 2천여 명이 현대중공업 매각반대를 주장하며 대우조선해양 본사에서 옥포삼거리 방향으로 가두행진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남 거제시는 27일 대우조선해양 매각과정에서 대한 지역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건의문을 정부 관계부처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와 함께 지역 경제를 이끄는 양대 축으로 꼽히는 대우조선해양 거제 옥포조선소에는 직영 인력만 9700여명, 협력사 직원은 1만7천명이 넘게 일한다.

    거제시민 25만명 중 상당수가 대우조선해양 작업복을 입고 있거나 이 회사 사원을 상대로 장사를 하는 등 직·간접적 인연을 맺고 있어 동종업계 경쟁자인 현대중공업이 지역 대표기업을 인수하는데 불안감이 매우 크다.

    건의문에는 대우조선의 기존 매출구조 유지, 고용보장, 지역 내 하도급 및 기자재 업체 물량장기보장 등 안전장치를 만들기 위한 첫 번째 시도로 경남시장군수협의회의 요구사항이 반영됐다. 이를 관계부처인 기재부, 산업부, 금융위원회, 산업은행에 제출했다.

    이에 따르면 거제지역의 경우 조선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8년 수출액 기준 95%, 고용보험 기준 63%인 조선도시임에도 2018년말 현재 조선업 종사인력이 호황기 대비 약 4만1000명(45%)이 줄어들었고, 그나마 남은 인력 5만1000명은 임금의 10% 이상을 반납하는 상황이다.

    또한 조선경기 불황으로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ㆍ고용위기지역 지정(경남 창원ㆍ통영ㆍ고성 등 포함)과 ‘조선업’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되어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2019년부터는 이전에 수주한 물량이 야드에서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조선업이 다시 살아나는 분위기였으나 지난 1월말 대우조선해양 매각이라는 발표에 따라 거제시 및 경남 경제가 또다시 어려워진 상황이라고 밝혔다.

    경남지역에는 대우조선해양의 선박부품을 생산하거나 기자재를 납품하는 업체 1200여개사가 위치해 있다. 이들 업계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이 현대중공업에 매각된다면 과거 사례와 같이 물량 대부분을 비어있는 현대중공업 야드로 옮겨갈 것이고, 납품자재 또한 현대계열에서 구매토록 할 우려가 있어 경남지역 협력사들은 줄도산 위기를 맞게 될 거라면서 절박감을 호소하고 있다.


    베타뉴스 온라인뉴스팀 (press@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980424?rebuil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