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정무위 저격수’ 김기식 금융당국수장으로…금융·재벌개혁 '탄력'


  • 이 직 기자
    • 기사
    • 프린트하기
    • 크게
    • 작게

    입력 : 2018-03-30 19:00:09

    신임 금융감독원장에 국회 정무위원회 '저격수'로 불렸던  김기식 전 의원이 임명됐다.

    금융권은 물론 기업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금감원장 자리를 금융관료가 아닌 시민단체 출신의 정치인이 맡은건 처음이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30일 금융위 의결을 거쳐 최근 사임한 최흥식 금융감독원장 후임으로 김 전 의원을 임명 제청하자, 문재인 대통령이 이날 오후 임명안을 재가했다.

    김기식 신임 금융감독원장 (사진=연합뉴스)

    금융위는 김 신임 원장이 참여연대 사무처장과 정책위원장 등으로 오랜 기간 재직하며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개혁적 경제정책을 개발해왔다며 제청 배경을 설명했다.

    특히 제19대 국회에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을 소관하는 정무위원으로 활동, 금융 정책ㆍ제도ㆍ감독 등에 대한 높은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시민단체와 국회 등에서 활동한 금융 전문가로 평가받고 있다. 1999년 참여연대 정책실장으로서 시민사회에 뛰어든 이후 사무처장과 정책위원장 등을 거쳐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제19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19대 국회의원 재직 시에는 금융위·금감원을 담당하는 정무위에서 주로 활동했다. 당시 정무위 민주당 간사를 맞아 정책 조율을 하기도 했다.

    2016년 이후에는 더미래연구소장을 문재인 정부의 금융 부문 개혁 밑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김 원장에게는 하나은행과의 갈등, 채용 비리 등으로 바닥에 떨어진 감독 당국의 신뢰를 되찾는 것이 첫 번째 과제다.

    당국과 하나금융은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의 3연임과 채용비리, 사내외이사 교체 등 문제를 두고 계속 충돌해왔다.

    최 전 원장이 사퇴한 것도 2013년 하나금융지주 사장 재직 시절 하나은행 공채에 응시한 친구 아들을 인사 추천하는 등 특혜를 준 의혹 때문이었다. 금감원은 최 전 원장 사태와 관련한 사실을 규명하고자 하나은행에 대한 특별검사를 진행 중이다.

    다른 부문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는 평가를 받아온 금융혁신 과제 역시 김 원장이 빠르게 해결해야 할 부분이다.

    금융당국은 중소기업ㆍ소상공인ㆍ창업자들이 체감하는 금융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모색 중이다.

    이건희 차명계좌에 대한 과징금 부과 문제, 금융그룹 통합감독, 지배구조 개선 등 재벌과 관련한 이슈도 많아 한때 ‘저격수’로 불렸던 김 원장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베타뉴스 이 직 기자 (leejik@betanews.net)
    Copyrights ⓒ BetaNews.net





    http://m.betanews.net/832465?rebuild=on